목표
- 국내 가속기 및 빔라인 분야의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이 관련 분야에 대해 이해
- 그에 수반한 전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미래를 선도할 인재 발굴 및 교육 기반 조성
교육 취지
- 전세계적으로 가속기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과학적 도구로서, 개념적, 기술적 가속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대에 요구하는 첨단 과학시설로의 충분한 성능 확보를 위해 성능 개선 혹은 신규 구축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어 우수 인력 확보, 교육·훈련, 현장 투입, 대형가속기 활용성 제고 등 전문인력 양성의 선순환 체계 확립이 매우 중요
- 대형가속기 시설과 가속기 교육과정 및 인프라가 구비되어 있는 대학 간의 연계로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 체계적인 교과목 및 기초 실험, 현장실습 교육, 산학연 협력 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교육 등으로 전문인력 양성
- 국가 대형가속기 구축 및 운영, 차세대 가속기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장치 및 활용 산업 등 다양한 가속기 관련 산업체의 산업화 기술 확보에 투입됨으로써 국가과학기술 제고에 이바지하기 위함
프로그램
-
Transverse Beam Dynamics (윤무현, 포항공대)
-
Longitudinal Beam Dynamics (김은산, 고려대 세종)
-
Collective Effects and Instabilities (김은산, 고려대 세종)
-
Injector: Electron Gun and LINAC (박종식, 고려대 세종)
-
Circular Accelerators: Booster Ring (이유미, 고려대 세종)
-
Circular Accelerators: Storage Rings (김재현/이재유, 포항가속기연구소)
-
Beam Diagnostics (장시원, 포항가속기연구소)
-
Electron and Radiation Beams Fundamentals (김광제, ANL/UoC)
-
Magnets and Insertion Devices (김동언, 포항가속기연구소)
-
Resonant Inelastic X-ray Scattering (김범준, 포항공대)
-
X-ray Diffraction (정진석, 숭실대)
-
AI를 이용한 X-ray Reflectivity (김국태, 포항공대)
-
Small Angle X-ray Scattering (신태주, UNIST)
-
RF Systems (고병록, 고려대 세종)
-
Studies of Collective Effects in HEPS (Haisheng Xu, IHEP)
-
X-ray Image Processing with AI (김예슬, 성균관대)
-
X-ray Microspectroscopy (원병묵, 성균관대)
-
EXAFS & XANES (정은석, 전북대)
등록
- 참여 희망 학생 등록 필수( ~7/3) : https://indico.korea.ac.kr/event/103/registrations/9/
기숙사 신청 (6/29 마감) - 현장실습 교육 참여 희망 시 별도 등록 필요(~7/8) : https://indico.korea.ac.kr/event/102/registrations/10/
- 등록비 무료
- 참여학생 고려대 세종캠퍼스 기숙사 1인 1실 (신청요) 및 점심 제공
- 기숙사 사용 시 침구류만 제공되며 세면도구 및 수건은 별도 지참 바랍니다.
- 기숙사 체크인: 주말 입소 시 기숙사 미래관(좌측건물) 1층 통합 경비실에서 사감의 안내를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평일 입소 시에는 가속기과학과 학생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숙사 퇴소 시 열쇠를 통합 경비실 사감에게 반납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차 시 정문주차장(무료)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 게이트 통과 후 주차 시 주차 요금이 발생하오니 주의 바랍니다.)
가속기 현장 실습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의 단독 주관으로 진행됩니다.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 2511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 농심국제관 1층 106호 (단, 7월 8일 월요일 오후 세션은 109호에서 진행됩니다.)
찾아오시는 길